관리 메뉴

해피로의 회생파산과 경영컨설팅 HP 010-3023-4972

{법인회생,일반회생]회생신청절차에서 직권파산이 선고되는 경우 본문

법인(일반,간이)회생/법인회생 개요,진행절차,준비서류

{법인회생,일반회생]회생신청절차에서 직권파산이 선고되는 경우

유진st 2014. 10. 7. 12:24

 

 

★ 회생신청절차에서 직권파산이 선고되는 경우

 

- 추후 "임의적 파산선고 / 필요적 파산선고"의 경우를 잘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우선 관련조문만 먼저 올려드립니다.

 

 

[관련조문]

6(회생절차폐지 등에 따른 파산선고) 파산선고를 받지 아니한 채무자에 대하여 회생계획인가가 있은 후 회생절차폐지의 결정이 확정된 경우 법원은 그 채무자에게 파산의 원인이 되는 사실이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직권으로 파산을 선고하여야 한다.

파산선고를 받지 아니한 채무자에 대하여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결정이 확정된 경우 법원은 그 채무자에게 파산의 원인이 되는 사실이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채무자 또는 관리인의 신청에 의하거나 직권으로 파산을 선고할 수 있다.

1. 회생절차개시신청의 기각결정

2. 회생계획인가 전 회생절차폐지결정

3. 회생계획불인가결정

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파산선고를 한 경우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등기 또는 등록의 촉탁은 파산의 등기 또는 등록의 촉탁과 함께 하여야 한다.

1. 23조제1, 24조제4·5항의 규정에 의한 등기의 촉탁

2. 27조에서 준용하는 제24조제4항 및 제5항의 규정에 의한 등록의 촉탁

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파산선고가 있는 경우 제3(파산절차)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그 파산선고 전에 지급의 정지 또는 파산의 신청이 없는 때에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지급의 정지 또는 파산의 신청으로 보며, 공익채권은 재단채권으로 한다.

1. 회생절차개시의 신청

2. 650조의 사기파산죄에 해당하는 법인인 채무자의 이사(업무집행사원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자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행위

회생계획인가결정 전에 제2항의 규정에 의한 파산선고가 있는 경우 제3(파산절차)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제2(회생절차)에 의한 회생채권의 신고, 이의와 조사 또는 확정은 파산절차에서 행하여진 파산채권의 신고, 이의와 조사 또는 확정으로 본다. 다만, 134조 내지 제138조의 규정에 의한 채권의 이의, 조사 및 확정에 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파산선고가 있는 때에는 관리인 또는 보전관리인이 수행하는 소송절차는 중단된다. 이 경우 파산관재인 또는 그 상대방이 이를 수계할 수 있다.

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의한 파산선고가 있는 때에는 제2(회생절차)의 규정에 의하여 회생절차에서 행하여진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의 처분·행위 등은 그 성질에 반하지 아니하는 한 파산절차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본다. 이 경우 법원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유효한 것으로 보는 처분·행위 등의 범위를 파산선고와 동시에 결정으로 정할 수 있다.

1. 법원

2. 관리인·보전관리인·조사위원·관리위원회·관리위원·채권자협의회

3. 채권자·담보권자·주주·지분권자(주식회사가 아닌 회사의 사원 및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지위에 있는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4. 그 밖의 이해관계인

파산선고를 받은 채무자에 대한 회생계획인가결정으로 파산절차가 효력을 잃은 후 제288조의 규정에 의한 회생절차폐지결정이 확정된 때에는 법원은 직권으로 파산을 선고하여야 한다.

8항의 경우 제3(파산절차)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 회생계획인가결정으로 효력을 잃은 파산절차에서의 파산신청이 있은 때에 파산신청이 있은 것으로 보며, 공익채권은 재단채권으로 한다.

3·6항 및 제7항의 규정은 제8항의 경우에 관하여 준용한다.